하루라도 빨리! 개설해야 돈 벌 수 있는 청년 통장 TOP 3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나는 해당 안된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누구나 돈 벌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가르쳐 드릴 테니 끝까지 읽으시기 바랍니다.

 

1. 청년 도약 계좌

최대 이율이 6% 이며, 5년간 5천만 원의 목돈 마련할 수 있는 좋은 기회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신청 나이는 만 19 이상 만 34세 미만,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 소득  총 급여 6천만 원 이하  (6000만 원에서 7500만 원 이하는 비과세만 적용) 신청방법은 어렵지 않으며, 시중은행 모바일에서 신청가능합니다. (단, 소득이 없는 경우는 신청하실 수 없습니다.)

2.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2023년 올해 딱 12월까지만 시행하는 개꿀 통장입니다. 최대 3.3% 높은 금리와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수 있습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에는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 모두 놓치지 말고 챙기도록 하세요.

 

비대면 가입 안내 (안내링크 바로가기)

 

청년 우대형 주택 청약 바로 가기

 

 

3.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란?

근로자,기업,정부가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부금에 복리이자를 더하여 청년근로자에게 성과 보상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내가 중소기업에 첫 취업을 했을 경우 300만 원을 내고 2년 뒤에 1200만 원을 벌 수 있는 기회로 꼭 개설하시길 추천합니다.

 

아래 안내링크 바로가기를 참고하여 꼭 혜택를 누리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안내링크 바로가기

 

 

 

 

2023년 하반기 경기도 파주시 청년 월세 매달 10 만원 지원 사업이 있어 소개드립니다.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신청기간 : 2023년 6월 1일(목) ~ 6월 30일(금) 18시까지

* 지원인원: 60명 내외

* 지원내용: 월 10만원 지원 (1가구당 연 최대 120만 원 / 분기별 지급)

* 지원대상: 파주시 거주 (만 19~39세 이하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 가구)

*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apply.jobaba.net)

* 자격기준

연령 : 공고일 기준 만 19세~39세 이하 (1983.6.2~2004.6.1)

주소: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 (임대차 계약동일) 파주시인 청년 가구

주택 : 임차보증금 1억원 이하, 월세 50만원 이하 무주택자

소득 :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 제외대상 : 자세한 사항은 공고문 참조 

* 발표일 : 2023년 7월 17일 (예정)

공고문 등(하반기)_공고문.pdf
0.40MB

 

 

여성 가족부에서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사업이 있어 소개하고 합니다.

만 9~24세 여성 청소년에게

월 13,000원을 지원해 주며,

국민행복카드로 구매가능합니다.

한 번 신청하고, 계속 지원받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주소지 읍. 면. 동 주민/행복센터방문 또는 복지로 누리집앱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행정복지센터에 갔더니 많은 팸플릿 중 눈에 띄는 게 있어 가져와 봤습니다.

바로 에너지바우처에 대한 팜프렛입니다.

에너지 바우처란?

에너지 취약계층이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라고 합니다.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대상과 신청 방법, 신청 서류등  자세한 내용은 에너지 바우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3년 12월 29일 까지 신청하세요

 

 

힘들게 티스토리 애드센스 승인을 받았는데 수익화로 연결이 되지 못하고 있어 답답한 심정입니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부탁도 해보고, 여기저기 동영상을 찾아보며 여러 글을 작성도 해보았지만 여전히 제자리걸음입니다.

어떤 키워드로 블로그를 작성해야 수익화로 이어질까 고민에 고민을 해보았지만 딱히 떠오르는 키워드는 없고..

그러다 우연히 퇴근하는데 행복센터 건물이 보여 무작정 들어갔습니다.

여기야 말로 정보 천국이더군요.. 왜 진작 여기 생각을 못했을까~~???? 

너무 어렵게만 생각을 했던 거 같습니다.

얻어온 정보들에 대해 하나씩 하나씩 블로그 작성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저와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도 가까운 행복센터 가보시는 걸 추천해 봅니다.

 

 

+ Recent posts